[한국경제매거진] 기업의 안과 밖은 다를 수 있다.

기업의 안과 밖은 다를 수 있다

박천웅의 스펙 뛰어넘기

요즘 짓는 아파트들은 외부 조경이나 커뮤니티 시설에 신경을 많이 쓰는 것 같다. 헬스장, 사우나, 놀이방 등 호화롭게 만든 공공 인프라를 볼 때면 살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그런데 이런 아파트 중에는 멋진 조경에 비해 내부 평수가 작거나 부실한 구조로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외적인 이미지에 먼저 호감이 가다 보니 실제 살게 됐을 때 불편할 수 있는 점들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이다.

취업준비생들이 입사하고 싶은 기업을 꼽을 때도 회사의 이미지, 브랜드 인지도 등 대외적인 요소가 주요 기준으로 작용한다. 물론 누구나 좋은 이미지, 높은 인지도를 가진 기업에 다니고 싶을 것이고, 그런 현상을 탓하려는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밖에서 보는 기업과 안에서 실제 일하면서 느끼는 기업의 이미지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경로는 광고나 보도 자료, 홈페이지 등이 있는데, 보통 회사를 홍보하기 위해 활용하는 매체다. 회사가 보여주고 싶은 모습, 표현하고 싶은 이미지만 드러나는 경로인 것이다. 즉 구직 활동을 하면서 이러한 매체들로만 기업을 알아본다면 부분적인 면만 알게 될 확률이 높다. 멋지고 좋게 표현된 모습이 그 회사 전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뉴스나 신문 기사 등을 통해 IT 업계가 비교적 직원들의 자율성을 보장해주는 분위기라고 알려져 있는데, 모든 회사가 그런 것은 아니다. 출퇴근 시간이나 근무 복장은 자유로울지라도 업무 강도나 난이도 면에서 훨씬 어려운 회사가 있고, 생각 외로 보수적인 조직 문화를 가진 곳도 있다.

반면에 언론 보도를 통해 부정적 여론이 형성돼 기업 이미지가 순식간에 바닥으로 추락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최근 남양유업 사태가 바로 그러한 경우다. 사실 남양유업의 모든 영업사원이 언론에 보도된 사례처럼 불손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노출되지 않은, 동종 업계의 다른 기업들은 그러지 않으리라는 보장도 없다. 한두 가지 나쁜 점이 부각되면 전체가 나쁘게 보일 수 있다. 부분적인 측면을 보고 전체를 판단하는 것은 유의해야 한다.

이렇게 밖으로 보이는 기업의 이미지와 실제 기업 내부에서 느끼는 것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실제 근무 환경은 어떠한지 다양한 방법으로 알아보는 노력이 있어야 취업 경쟁에서 유리하고 입사 후에도 적응이 쉬울 것이다.

출처: [한국경제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