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여 년 전만 하더라도 고등학교에서 대학교의 진학은 일부의 학생만이 가능했었기에 경쟁률도 높았고 학생들이 하고자 하는 의지도 높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대학의 진학이라는 것은 취업의 성공을 나타내지 않았나 싶다. 하지만 요즘의 경우 학생들의 숫자도 줄어들고 대학교는 늘어남으로써 대학 진학시 경쟁률도 낮아지고 목적 역시 ‘다른 사람들이 가기 때문에’로 바뀌어 가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이렇게 진학을 하다보니 1-2학년때는 그동안 갖지 못했던 여유를 갖는데 중점을 두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는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후 3-4학년에 되어서는 취업에 대한 급한 마음에 어학준비 및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등 각종 획일화된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이런 노력을 하기전에 기업은 왜 채용을 하려는 지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얼마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강의에서 “기업에서는 왜 사람을 채용하려고 하는가”에 대해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문을 한 적이 있었다. 이때 나온 대답들이 “인재를 써먹기 위해서”, “인재를 활용해서 가치를 내기 위해서”, “돈을 벌기 위해서”등 다양한 대답이 나왔다. 물론 그럴듯한 대답들이지만 결국 기업에서 인재를 채용하는 이유는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닌가 싶다. 특히 신입사원들의 경우 오늘 당장 돈벌기 위해서 채용을 하기 보다는 내일을 위해서 채용을 하는 것이며 결국 신입사원들은 돈을 벌어주기 위한 가능성을 통과해야지 취업이 가능하리라 본다.
필자의 경우 아웃소싱업 전문업체인 ‘스탭스’를 경영하다보니 많은 면접을 진행하게 되는데 면접을 보다보면 “기회만 주면 무슨일이든 열심히 하겠습니다” 내지는 “제가 아직 직생생활 경험은 없지만 한번 믿고 맡겨 주십시요”라는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다. 서류 전형을 거쳐 어렵게 주어진 면접에서 대부분의 면접자들이 비슷한 말을 할때면 일을 하겠다라는 굳은 의지를 나타내는 어쩔수 없는 표현이라 생각하지만 비슷한 대답을 듣다보면 맥이 빠지는 것이 현실이다. 면접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은 수준 이상의 어학능력과 성적등 기본적인 스펙을 갖췄다는 의미인데 자신을 가장 표현하기 쉬운 면접에서조차 자신을 독창적으로 표현하기 보다는 막연한 자신감 내지 의지로 자신을 표현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처럼 면접시에 앞으로 잘하겠습니다 라는 등의 미래의 이야기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20년 이상의 세월 속에서 살아온것중 본인이 어필을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전정신이 뛰어나다는 이야기를 할 경우에는 마라톤10KM를 완주를 통해 도전정신을 키웠다라든지 자신감 극복을 위해 번지점프를 했다라는 이야기를 통해 어필을 한다면 취업의 성공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사람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신입사원으로 채용이 되는 경우 실제 입사를 해보면 대부분 해보지 않은 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이럴 경우 공통된 상황에서 어떠한 특성을 보일수 있느냐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학교는 돈을 주고 배우는 곳이고 회사는 돈을 받고 일하는 곳이기 때문에 성과지향적이고 다른 기업, 다른 부서, 다른 사람과 경쟁을 하는 곳이다. 이런 경쟁의 분위기에서는 “본인이 원하는 일”을 보다는 “회사가 필요로 하는 일”을 해야 하고 이를 위하는 능력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 학교와 회사와의 차이
-돈 내고 배우는 곳 (학교) 돈 받고 배우는 곳 (회사)
학교 : 敎(교), 學(학) 사회 : 育(육), 習(습) – 지식만으로 성과를 내지못함 (O.X 추구) – 최적의 결과를 내야함 – 준비된 사람 ○ 학교 : 지식 (성적) <—> ○ 회사 : 문제해결능력 (성과 = 돈을 벌어주는 사람) |
– 지식습득( 검증된 과거사례) – 인격함양 – 준비하는 곳 (사회진출위해) => 아마츄어 (책임이없음) |
<—> |
– 가치창출 (일의 성과통해 수식에 기여) – 시너지를 내는곳 (조립해서 상품화- 함께하는 곳) => 프로 (밥값 이상해야 퇴출안됨) : 행동, 결과에 책임 예1) 3일 무단결근이면 퇴직 예2) 성과에 따른 연봉, 특진, 퇴출 |
이처럼 학교와 사회랑은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사회라는 곳은 지식과 생각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10, 20년 후에 큰 꿈을 갖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 꿈이라는 것은 방향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가 싶다. 조직에서는 방향성이나 지식보다는 조직에서 성과를 낼수 있고 가치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을 원하는 것이 현실이다. 사회는 학교와 달리 생각보다 냉정한 곳이다. 자기 능력에 의해 인정을 받는 곳으로 모든 것을 포용하는 부모, 형제나 가정이나 똑같은 연배의 사람이 모여 있는 학교와는 다르다는 인식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자신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지금과 같은 시기에는 회사의 존재 목적에 개인을 맞추려는 노력이 중요할 것이다. 조직이 원하는 사람이 되겠다라는 생각이 앞서고 역량, 충성심, 함께 하려는 사람인가의 관점에서 나를 볼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
2009년 6월호
출처: [리쿠르트]